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4

8.4. 메모리 관리 Memory Management 4 이화여자대학교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링크 2. Segmentation 복습 세그먼트 번호, offset base의 주소값으로 가서 (offset)얼만큼 떨어져 있는가를 더해준다. 페이징과 다르게 크기가 균일하지 않다. base뿐 아니라 길이(length register)가 얼마인지 엔트리에 같이 담고 있다. 세그먼트 개수보다 세그먼트 번호가 크면 부적절한 참조 -> STLR값과 세그먼트 번호 비교 offset이 세그먼트 길이보다 크면 부적절한 메모리 참조 공유와 보안에 효과적 크키가 다르므로 external fragementation 발생, 가변분할과 같이 동일한 문제점들이 발생 일반적.. 2022. 8. 5.
8.3. 메모리 관리 Memory Management 3 이화여자대학교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링크 1.5. Multilevel Paging and Performance 4단계 -> 메모리가려면 5번 접근 필요 대부분 TLB를 사용해서 4단계여도 속도가 많이 줄어든다. 메모리 접근시간 100, TLB접근 시간 20, TLB hit ratio가 98%인 경우 0.98 * 120 + 0.02 * 520 = 128 이라고 써져있다. 0.98 * (20(TLB) + 100(메모리)) / 0.02 * (20(TLB) + (100(메모리) * 5(접근 횟수)))로 이해하면 된다. TLB의 정보로 메모리에 한 번 접근하기 때문에 20 + 100 이며, 4단.. 2022. 8. 5.
8.2. 메모리 관리 Memory Management 2 이화여자대학교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링크 1. Paging 연속할당처럼 레지스터 두 개만으로는 paging을 할 수 없다. page table : 논리 메모리의 페이지 개수만큼 엔트리가 존재 물리 메모리를 나눈 것은 페이지 프레임이라 한다. 1.1. 주소 변환 구조 페이지 내에서의 offset부분은 주소 변환에서 영향이 없다. 내부에서의 상대적 위치는 똑같다. 보통 페이지 크기 4kb -> 엔트리가 실제로 100만개 정도.. -> 용량이 크기 때문에 cpu의 레지스터에 못 들어감 -> 심지어 프로그램마다 있다. -> 메모리에 집어넣어 버림 1.2. 페이지 테이블의 구현 메인 메모리에 상.. 2022. 8. 4.
8.1. 메모리 관리 Memory Management 1 이화여자대학교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링크 1. Logical address vs. Physical Address 1.1. Logical address(=virtual adderess)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부터 시작 cpu가 보는 주소는 logical address임 주소는 바뀌지만 그 안에 코드 상의 주소는 logical address로 남아있다. 1.2. Physical address 메모리에 실제 올라가는 위치 실제로 사용하려면 논리적 주소는 물리적 메모리 어딘가에 올라가야함 주소 바인딩 : 주소를 결정하는 것 심볼로된 어드레스 사용 -> .. 2022. 8. 4.